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성자에서 반환 형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건 클래스를 닫을때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안쓰면 뜨는 에러... 더보기 Visual Studio 2005 단축키 참조 : http://blog.naver.com/pyrisind?Redirect=Log&logNo=60050048390 Ctrl + Tab Edit하고 있는 Child Window 간의 이동 Ctrl + F4 현재 Edit하고 있는 Child Window를 닫기 Ctrl + I 문자열 입력 점진적으로 문자열 찾기 (Incremental Search) Ctrl + F3 현재 커서에 있는 문자열 찾기 fowared (블록 지정 안 해도 됨) Shift + F3 현재 커서에 있는 문자열 찾기 backward F3 찾은 문자열에 대한 다음 문자열로 이동 (Next Search) Ctrl + H 문자열 찾아 바꾸기 (Replace) Ctrl + Left/Right Arrow 단어 단위로 이동 Ctrl + Dele.. 더보기 void형 포인터?? void 형 포인터란 모든형(char,int,double)등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포인터이다. char형 주소를 저장히기 위해서는 char형 포인터가 필요하고 int형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int 형 포인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char형과 int형주소 모드를 저장해야 하는 겨우라면 데이터 자료형이 결정되지 않았으므로 void형 포인터를 사용하여 저장해야한다. 그러나 *vp(변수)와 같이 주소가 가지고 있는 값에는 접근할수없다. 이유는 주소가 몇 바이트 크기의메모리를 참조해야 할지 알수 없기 때문이다. void형 포인터 변수 vp는 자료형이 void이므로 몇 바이트의 크기를 어떤 형태로 접근해야 할지 알수없다. 그래서 void형 포인터 변수는 형변환해서 사용하거나 다른 포인터 변수에 대입하여 사용한다.. 더보기 입출력시스템 ios format flags 참조 : http://blog.naver.com/pink_7?Redirect=Log&logNo=40008443053 #include void main() { cout 더보기 다양한 Shift 키 사용법 참조 : http://blog.naver.com/topsync13?Redirect=Log&logNo=20095122204 1. 윈도우 시작을 더 빠르게 해주는 Shift 윈도가 시작될 때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시작 메뉴에 등록했던 여러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전혀 실행되지 않고 윈도만 바로 시작합니다. 시작 메뉴에 프로그램을 많이 등록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은 급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하면 빠르게 윈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2. 휴지통 거치지 않고 불필요한 파일 바로 삭제하기 [Shift]키를 누른 채로 [Del] 키를 눌러 파일을 지우면 파일은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바로 삭제됩니다. 3. 열어놓은 윈도창 한번에 닫기 윈도에서 가장 큰 장점은 여러개의 윈도창을 띄워놓고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 더보기 xp 몇가지 팁 01. 여러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꾼다. 윈도우즈 XP는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는 재주가 있다. 파일 형식이 서로 달라도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이름을 바꿀 파일을 모두 고르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이름 바꾸기’를 고른다. 윈도우즈 XP에서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바꿀 때는 첫 번째 파일에 이름만 쓴다. 예를 들어 '귤'이라고 하면 첫 번째 파일은 '귤'이 되고 나머지 파일들은 '귤'(1) '귤'(2) 등으로 바뀐다. 02. 성인광고 지우는 법 성인광고 사이트도 아닌데 자꾸 성인광고가 뜬다. 한두 개 정도야 바로 닫아버리면 그만이지만 여러 개의 창이 마구 쏟아져 나오면 윈도우즈 XP가 먹통이 되기도 한다. 성인광고를 막아주는 프로그이 있지만, 괜히 하드디스크 용량만 차지.. 더보기 XP에서 한글이 안쳐질때 해결 참조 : http://philsama.com/124 컴퓨터로 여러가지 작업을 하다가보면 갑자기 한글이 안쳐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 해결방법은 아주 간단한다. 한글을 입력해야하는 곳으로 커서를 옮기고, 모니터 우측 하단에 보면 그림과 같은 부분이 있다. 거기서 "A"라고 표시되어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가"로 바뀌면서 한글이 사용가능해진다. 더보기 Tracert(trace route)의 의미와 사용방법 참조 : http://philsama.com/121 Tracert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해당 웹 페이지까지 중간에 거치는 수 많은 루트의 정보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TCP/IP라는 방식으로 인터넷에 자신의 컴퓨터가 연결이 되면, 어떤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까지 몇 개의 루트를 거치게 됩니다. 네트워크상에서 이렇게 한 지점을 거쳐 다른 지점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 을 hop라고 합니다. 이제 Tracert를 사용하여, 몇 개의 hop를 거쳐 해당 웹 페이지에 연결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MS-DOS 창을 실행시키고, 다음 명령을 내립니다. tracert naver.com 자신의 컴퓨터로부터, 해당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보여줍니다. 왼쪽에 나오는 일련번호는 hop에 번호를 매긴 것으로서, 이 번호가 많을수록 .. 더보기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