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ACreateEvent 썸네일형 리스트형 21장 Asynchronous Notification IO 모델 동기와 비동기에 대한 이해 위 : 동기 아래 : 비동기 *동기화된 입출력의 단점과 비동기의 해결책 동기화된 입출력의 단점 입출력이 진행되는 동안 호출된 함수가 반환을 하지 않으니, 다른 일을 할 수가 없다 비동기의 해결책 데이터의 송수신 완료에 상관없이, 호출된 함수가 반환을 하기 때문에 다른 일을 진행 할 수 있음 *Notification(알림) IO(입출력) 입력버퍼에 데이터가 수신되어서 데이터의 수신이 필요하거나, 출력버퍼가 비어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상황의 알림 *동기화된 Notification IO모델 가장 대표적인 동기화된 Notification IO모델은 select방식 IO가 필요한 또는 가능한 상황이 되는 시점이(간단히 말해서 IO관련 이벤트의 발생 시점이) select함수가 반환하는.. 더보기 이전 1 다음